✨ 한눈에 요약
- 경기패스 환급은 경기도민(만 19세 이상)에게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자동 환급되는 정책입니다. 일반 20%, 청년(19~39세) 30%, 저소득층 53.3%, 다자녀 2자녀 30%·3자녀 50%가 적용됩니다.
- 61회 이상 이용분은 해당 구간 전액 환급(추가지원) 규칙이 있어, 통근·통학이 잦은 분에게 유리합니다.
- 버스·지하철·GTX·신분당선 등 대부분 대중교통에서 적용되며, 시외/고속버스·KTX·SRT 등 별도 발권 수단은 제외됩니다.
- 신청은 K-패스 발급·등록 → 자동 적용 구조입니다(경기도 거주 인증).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회원 전환 후 이용 가능합니다.

✅ 꼭 챙길 혜택
- 청년(19~39세) 상향: K-패스 청년(19~34세)보다 폭넓게 39세까지 30% 환급.
- 무제한 환급 구조: 월 15회 이상이면 기준 환급, 61회 초과분은 전액 환급으로 잦은 이용자에게 최적.
- 전국 이용 가능: 경기도민이라면 전국 대부분 대중교통에서 적용(버스·지하철·GTX·신분당선 등).
- 카드 타입별 자동 정산: 신용카드=청구할인, 체크카드=통장 환급, 선불=마일리지 적립으로 번거로운 신청 없이 자동 처리.
🧭 제도 핵심 이해: K-패스 vs. The 경기패스
- K-패스(국토부): 전국 확산형 대중교통 환급 기본 제도(일반 20%·청년 30%·저소득 53.3%), 월 15~60회(일 2회 한도) 환급.
- The 경기패스(경기도 추가 혜택): 경기도민 19세 이상이 K-패스 가입 후 이용하면 청년 범위 확대(39세), 61회 초과분 전액 환급 등 강화 혜택 자동 적용.
🚇 적용 교통수단·제외 수단 요약
- 적용: 시내/광역버스, 도시·광역철도, 신분당선, GTX-A 구간 등.
- 제외: 시외(고속)버스, KTX, SRT 등 별도 발권 수단.
💳 카드 유형별 환급 흐름(자동 정산)
- 신용카드: 결제일에 청구할인으로 환급액 반영
- 체크카드: 지정 계좌로 현금 환급
- 선불/모바일 교통카드: 마일리지/포인트 적립
위 세 가지는 추가 신청 없이 K-패스 등록만 되어 있으면 자동 반영됩니다.
📝 간단 신청 절차
핵심: K-패스 발급·등록 → 경기도민 인증 → 자동 적용(경기패스).
- 카드 선택·발급
- K-패스 참여 카드(신용/체크/선불·모바일) 중 선택 후 카드사 발급(삼성·신한·국민·우리·하나·농협 등).
- K-패스 회원가입·카드 등록
- K-패스 앱/웹에서 회원가입 후 카드번호 등록(기존 알뜰교통카드는 회원 전환).
- 자동 적용
- 주민등록상 경기도 만 19세 이상이면 The 경기패스 혜택 자동 적용(별도 버튼 없음).
- 이용·환급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환급, 61회 초과분 전액 환급 규칙까지 챙기기.

📊 환급 계산 예시(실사용 체감)
전제: 30일 중 22일 출퇴근, 1일 2회 탑승, 월 44회, 기본요금 1,550원 가정
- 일반(20%): 1,550×44=68,200원 → 환급 13,640원
- 청년(30%): 동일 기준 → 환급 20,460원
- 저소득층(53.3%): 동일 기준 → 환급 36,306원
- 61회 초과 시: 61회까지 위 비율, 62회부터는 해당 회차 요금 전액 환급(경기도 추가).
공식 계산기: 경기도 환급금 계산기에서 본인 조건으로 바로 시뮬레이션하세요.
🧩 자주 하는 실수 체크리스트
- K-패스 미등록: 카드만 발급하고 앱/웹 등록을 안 하면 환급 미적용.
- 제외 수단 이용: KTX·SRT·시외/고속버스는 환급 안 됨.
- 거주지 인증 실패: 주민등록상 경기도가 아니면 경기패스 추가 혜택 미적용.
- 월 15회 미달: 기본 환급 대상 제외(가입 첫 달 예외).
💬 궁금증 Q&A
Q1. 청년 기준이 39세라던데 맞나요?
A. 네, The 경기패스는 19~39세를 청년으로 보아 30% 환급을 제공합니다(국가 K-패스보다 폭넓음).
Q2. GTX-A도 환급되나요?
A. GTX-A 구간 이용분에 대해 환급이 적용됩니다(경기패스·K-패스 정책 연계).
Q3. 61회 넘게 타면 어떻게 되나요?
A. 61회 초과분은 전액 환급이라, 다회 이용자는 이 구간에서 체감 절감폭이 큽니다.
Q4. 환급은 어떻게 들어오나요?
A. 신용=청구할인, 체크=계좌 환급, 선불=마일리지 적립으로 자동 정산됩니다.
Q5. 제외되는 교통수단은?
A. 시외/고속버스·KTX·SRT 등 별도 발권이 필요한 수단은 제외됩니다.
🧠 똑똑한 활용 팁
- 출퇴근 규칙화로 월 15회를 초반에 채우면 환급 안정
- 61회 초과를 노리는 통근·영업 직군은 대중교통 우선 이동 루틴 설계
- 모바일+실물 혼용 시 동일 카드·계정으로 이용 건수 합산 관리(플랫폼별 분리 사용 방지)
- 다자녀·저소득층 해당 시 유리한 환급률 자동 적용 확인(중복 시 최고 환급률 적용).
🔔 마지막 정리·다음 액션
- K-패스 카드 발급 → 앱/웹 등록
- 경기도민 인증 후 대중교통 이용 시작
- 월 15회 달성으로 환급 기준 확보, 61회 초과 전액 환급까지 챙기기
- 공식 계산기로 환급 규모 체크 후, 카드 유형(신용/체크/선불)을 최적화하세요.
🧱 추가 정보: 대상·요건 상세
구분 | 기준 | 환급률 |
---|---|---|
일반 | 만 19세 이상(기타 요건 해당 없음) | 20% |
청년 | 만 19~39세(경기패스) / K-패스 19~34세 | 30% |
저소득층 |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 | 53.3% |
다자녀(2자녀) | 자녀 2명 이상·그중 1명 이상 18세 이하 | 30% |
다자녀(3자녀) | 자녀 3명 이상·그중 1명 이상 18세 이하 | 50% |
공통 | 월 15~60회(일 2회) 환급 / 61회 초과분 전액 환급(경기) | — |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자료
- 경기도 공식: The 경기패스 안내(혜택·적용수단·자동정산)
- 경기도 공식: 환급금 계산기
- 국토교통부·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K-패스 환급 기준·환급률 국토교통부
- 경기도 뉴스포털: 61회 초과분 전액 환급 등 운영 안내(2025.07.17) 경기뉴스
마무리
경기패스 환급은 “등록만 제대로 하면 자동으로 돈을 돌려받는” 구조입니다. 카드 발급·등록과 월 15회 기준만 챙기면, 특히 61회 초과 전액 환급으로 체감 절감폭이 커집니다. 오늘 바로 K-패스 등록을 끝내고, 다음 달 카드 명세서/계좌에서 환급 효과를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