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 확대 소식, 올해(2025) 연말정산 준비에 큰 변화입니다. 2026년 1월 1일 이후 기부부터 10만~20만원 구간에 세액공제 40%(지방소득세 포함 실효 44%)가 신설되고, 20만원 기부 시 세금 14.4만원 + 답례품 6만원으로 사실상 부담 ‘0원’에 가까워집니다. 또한 연간 기부 한도는 2025년부터 2,000만원으로 이미 상향됐습니다.
✨ 한눈에 요약
- 무엇이 바뀌나? 2026.1.1. 이후 기부부터 10~20만원 구간 세액공제율 40%(실효 44%) 신설. 20만원 기부 시 세금 14.4만원 공제 + 답례품 6만원 ≈ 총 20.4만원 혜택.
- 언제 적용? 2026년 기부분부터. 2025년 기부는 종전 규정(10만원 전액, 초과분 16.5%).
- 한도는? 개인 연 2,000만원(2025년부터). 본인 주소지 지자체에는 기부 불가, 개인만 가능.
- 특별 상황: 특별재난지역에 기부하면 초과 구간 공제율 33%를 선포일로부터 3개월 한시 적용.

✅ 꼭 챙길 혜택
- 세금 바로 차감(세액공제): 10만원까지 100%, 10~20만원 40%, 20만원 초과~2,000만원 15%(일반 구간). 지방소득세까지 반영한 실효 공제율은 10~20만원 구간 44%.
- 답례품 최대 30%: 지역 특산물·상품권 등. 20만원 기부 시 6만원 상당 가능.
- 한도 넉넉: 연 2,000만원까지 여러 지자체에 분산 기부 OK(주소지 지자체 제외).
- 특별재난지역 지원 가산: 해당 지역 기부 시 초과 구간 33%로 한시 상향.
📌 핵심 포인트: 2026년부터는 20만원 기부가 ‘절세+소비’ 동시 달성의 스윗 스팟입니다.
📊 바뀐 공제 구조 한눈표 (개인)
구간(기부액) | 2025년까지 | 2026년부터(확대) | 비고 |
---|---|---|---|
~10만원 | 100% | 100% | 변동 없음 |
10~20만원 | 16.5% | 40% (실효 44%) | 지방소득세 포함 기준 |
20만원 초과~2,000만원 | 16.5% | 15% | 기본 구조 유지 |
답례품 | 최대 30% | 최대 30% | 동일 |
연간 한도 | 2,000만원(’25~) | 2,000만원 | 개인만, 주소지 지자체 제외 |
예시) 20만원 기부(2026년) = 세액공제 14.4만원 + 답례품 6만원 ⇒ 20.4만원 혜택.

🧩 누구에게 특히 유리할까?
- 연말정산 환급을 키우고 싶은 직장인: 근로소득세에서 바로 차감되는 세액공제라 체감도가 큽니다.
- 생활비·장보기 부담 줄이고 싶은 가구: 답례품 30%까지, 지역 농축수산물·상품권 활용성 높음.
- 고향·관심 지역을 응원하고 싶은 개인: 기부+절세+소비 삼박자 효과.
🧮 20만원·50만원 시뮬레이션 (2026년 기준)
- 20만원: (10만원×100%) + (10만원×44%) = 14.4만원 공제 + 6만원 답례품. 실지출 ≈ -0.4만원(체감상 0원).
- 50만원: 10만원(100%)=10만원 + 10만원(44%)=4.4만원 + 30만원(15%)=4.5만원 → 총 18.9만원 공제 + 답례품 최대 15만원.
💡 팁: 1차로 20만원, 필요시 추가 기부를 특별재난지역(초과 33%) 시기에 배치하면 체감 혜택이 커집니다.
📝 간단 신청 절차
- 고향사랑e음 접속 → 회원(본인인증) 가입
- 지자체·답례품 선택, 금액 입력
- 결제(카드/계좌 등) → 전자영수증 자동 연동
- 연말정산/종소세 신고 시 자동 반영(필요 시 기부금 영수증 확인)
주의: 주소지 지자체에는 기부 불가, 개인만 가능.

📆 타임라인 & 체크리스트
- 2025년까지 기부: 종전 규정(10만원 전액, 초과 16.5%). 20만원 ‘0원 전략’은 아직 불가.
- 2026년부터 기부: 10~20만원 40%(실효 44%) 적용, 20만원 스윗 스팟.
- 특별재난지역: 선포 +3개월 동안 초과 구간 33%. 해당 시기 공지 확인 후 기부 타이밍 잡기.
💬 궁금증 Q&A
Q1. 확대된 공제는 정확히 언제부터?
A. 2026.1.1. 이후 기부분부터 적용됩니다(법 개정 후 시행). 2025년 기부는 종전 규정.
Q2. 20만원 초과분도 40%인가요?
A. 아니요. 10~20만원 구간만 40%, 그 초과(20만원↑)는 15%가 적용됩니다.
Q3. 답례품 30%는 계속인가요?
A. 기본 원칙은 동일합니다. 지자체·품목별 선택 가능.
Q4. 연간 한도 2,000만원은 확정인가요?
A. 네, 2025년부터 한도 2,000만원으로 이미 상향되어 시행 중입니다.
Q5. 가족이 대신 기부한 금액도 합산 공제되나요?
A. 개인만 공제됩니다(본인 기부만). 주소지 지자체에는 기부 불가.
Q6. 근로자·사업자 적용 차이는?
A. 공제 구조는 동일하나, 근로자는 연말정산, 사업자·프리랜서는 종소세 신고로 반영합니다. 국세청 안내를 참고하세요.
Q7. 특별재난지역 기부 33%는 언제?
A. 특별재난지역 선포일로부터 3개월 한시 적용. 해당 지자체 공고를 확인하세요.
🧭 절세 설계 팁
- 전략 1: 2026년에 20만원 1회로 스윗 스팟 달성 → 필요시 추가 기부는 관심 지역/특별재난지역 시기에 분산.
- 전략 2: 부부 각자 20만원씩(각자 공제) → 가구 체감효과 극대화.
- 전략 3: 답례품 카테고리(식품/상품권 등) 미리 장보기 계획과 맞춰 선택.
🔔 마지막 정리·다음 액션
- 2025년은 종전 규정(10만원 전액, 초과 16.5%).
- 2026년부터 고향사랑기부금 세액공제 확대 적용: 10~20만원 40%.
- 연말정산 환급 극대화를 원한다면 2026년 초 20만원 기부로 선제 확보.
- 특별재난지역 공지 나오면 +3개월 내 전략 기부 검토.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 2025 세제개편안 완벽 분석: 달라지는 세금·혜택·준비 전략 총정리
- 🎉 결혼세액공제 2025: 신혼부부라면 꼭 챙길 100 만원 절세 비법
- 💳 2025 신용카드 소득공제 완벽 가이드 – 한도, 공제율, 절세 전략 총정리
- 중소기업 세제 혜택 완벽 가이드: 2025년 최신 지원 방법 총정리
🏛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자료
- 기획재정부 ‘2025년 세제개편안’ 공식 페이지(첨부 PDF 포함)
- Samil PwC Tax News Flash 요약본(PDF): 고향사랑기부금 40% 구간·적용시기(’26.1.1.)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고향사랑기부제 한도 2,000만원 상향(2025부터)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특별재난지역 기부 시 초과구간 33% 한시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