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 인상 정책이 시행돼 월 최대 250 만원, 연 2,310 만원(12개월 기준)까지 받을 수 있게 됐습니다. 복귀 6개월 뒤에 받던 25% 사후지급도 사라져 육아휴직 기간 중 전액을 수령합니다.

📝 핵심 요약
- 상한액 인상: 150 만원 → 250 만원(1~3개월), 200 만원(4~6개월), 160 만원(7개월 이후)
- 사후지급 폐지: 급여의 25%를 복귀 후 받던 제도 삭제, 육아휴직 중 100% 지급
- 6 + 6 부모육아휴직제 상향: 부모가 동시·순차 사용 시 첫 6개월 최대 250 만원으로 통일
- 한부모 혜택: 첫 3개월 상한 300 만원으로 추가 지원
💎 주요 혜택/포인트
📈 인상된 급여 한눈에 보기
- 1~3개월: 월 250 만원
- 4~6개월: 월 200 만원
- 7개월 이후: 월 160 만원
- 총액: 2,310 만원(12개월 만 사용 시) — 기존 대비 510 만원 ↑
- 부모 모두 사용 시: 부부 합산 최대 5,920 만원(6 + 6 제도)
- 중소기업 사업주 지원: 대체인력 채용 시 월 120 만원 업무분담 지원금 신설

🛠 신청 가이드
신청 절차
- 육아휴직 신청서 제출 – 최소 30일 전, 회사 → 근로자
- 사업주 확인 – 14일 내 서면 회신(무응답 시 자동 승인)
- 고용보험 시스템 신청 – 온라인(고용보험 → 개인서비스) 또는 관할 고용센터
- 급여 수령 – 매월 10일경 본인 계좌 입금
필요 서류
- 육아휴직 신청서(회사 양식)
- 가족관계증명서(자녀 확인)
- 통장 사본
- 휴직 기간 동안의 급여조견표(회사 발급)
❓ FAQ
- 이미 2024년에 육아휴직 중인데, 인상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네. 2025년 1월 1일 이후 사용 기간부터 인상액이 소급 적용됩니다. - 프리랜서·특수고용직도 지원 대상인가요?
고용보험 가입 여부가 기준입니다. 고용보험 미가입자는 별도 지자체 지원을 확인하세요. - 한부모 근로자는 어떤 추가 혜택이 있나요?
첫 3개월 상한액이 300 만원까지 인상됩니다. - 육아휴직 중 해외 체류가 가능한가요?
가능하지만 1개월 이상 해외 체류 시 사전에 고용센터 신고가 필요합니다. 미신고 시 급여 환수될 수 있습니다.
🔚 결론 및 다음 단계
육아휴직 급여 인상으로 소득 공백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바로 오늘 회사 HR에 휴직 계획을 알리고,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신청 절차를 미리 점검하세요. 준비된 서류만 챙기면 2025년 새해부터 달라진 급여를 문제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