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국가전략은 2025년 대한민국의 디지털 대전환을 이끄는 핵심 로드맵입니다. 1월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공개한 ‘2025년 업무계획’에서 AI‧디지털 혁신이 최우선 국정 과제로 명시되면서, 정부·기업·지자체·개인 모두에게 새로운 기회가 열렸습니다.
📜 제도 개요 및 최신 변화
- 범정부 거버넌스 강화 : 2025년 7월 14일 입법예고된 개정안은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에 상근 부위원장을 신설하고 중앙부처·지자체에 ‘인공지능책임관’을 지정해 AI 정책 컨트롤타워 기능을 대폭 확장합니다.
- AI 컴퓨팅 인프라 종합대책 : 2월 예정된 국가AI위원회 회의에서 데이터센터 규제 개선·AI 컴퓨팅센터 구축 계획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 초거대 AI 도입·활용 가이드라인 2.0 : 4월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가 공공부문 전용 실무 가이드라인을 발표, 110개 이상 활용 사례와 단계별 체크리스트를 제공했습니다.
- 연구개발(R&D)·예산 확대 : 2025년 국가 R&D 예산은 역대 최대 24.8조 원으로 확정, 이 중 AI·반도체·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기술에 4.3조 원이 투입됩니다.
- 윤리·규제 정비 : AI 기본법 하위법령 정비단이 1월 출범, 신속한 시행령 마련을 추진 중이며, 국가 AI 윤리기준 고도화 작업도 병행됩니다.
- 국제 비교 : 주요국은 AI 투자 경쟁을 가속화—싱가포르 ‘AI 전략 2.0’(22.8억 SGD), 캐나다 ‘소버린 AI 컴퓨팅 전략’(20억 CAD) 등.
🎯 지원 대상 및 신청 자격
구분 | 주체 | 주요 혜택 | 비고 |
---|---|---|---|
기업 | 스타트업·중소·대기업 | AI 컴퓨팅 바우처, 정책펀드(8,100억 원), 혁신서비스 실증 | 과기정통부·산업부 협업 |
지자체 | 시·도 | ‘AI+X 시범도시’, 데이터센터 전력 특례 | 행안부·산업부 연계 |
연구기관 | 대학·출연연 | 범용 AI 기술개발 사업(1조 원), 인재양성 프로그램 | KISTEP 종합시행계획 |
개인 | 개발자·창업가 | AI 인재양성(연구생활장려금), 오픈AI 테스트베드 | 2025 예산 근거 |

📝 신청 방법 · 준비 서류
- 사업 공고 확인 : 과기정통부·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 주기적 확인.
- 온라인 접수 : 과제관리시스템 e-R&D → 회원가입 → 과제선택 → 계획서·사업자등록증 업로드.
- 사전 컨설팅 : AI바우처 플랫폼에서 기술수준·윤리 체크리스트 자가진단 후 제출.
- 평가·협약 : 서류‧발표 평가 → 조정 협약 → 사업 착수.
💰 예상 혜택 · 계산 예시
- AI 컴퓨팅 바우처
- GPU 1 PFLOPS 기준 연간 5억 원 상당의 연산 자원을 최대 80 % 지원 → 기업부담 1억 원.
- 예시: 스타트업 A사는 5억 원 규모 프로젝트로 4억 원을 지원받아 총 1억 원을 자부담.
- 정책펀드 연계 투자
- TIPS·AI 혁신펀드 매칭 투자 시 민간 3억 원, 정부 2억 원 총 5억 원 확보 가능.
- R&D 세액공제
- 국가전략기술(AI) R&D 비용 최대 50 % 공제(조특법 개정안 근거).

⚠️ 유의사항 · FAQ
- 중복 지원 제한 : 동일 과제 명목으로 타 부처 지원을 받은 경우 선정 취소 가능.
- 윤리 준수 의무 : AI 윤리기준 위반 시 바우처 회수, 2년간 참여 제한.
- 데이터 국외 이전 : 클라우드 사용 시 국내 리전 저장 원칙, 예외 시 사전 승인 필수.
- FAQ
- Q: 개인 개발자도 지원 가능? → ‘오픈AI 테스트베드’ 등 개인 트랙 별도 운영.
- Q: GPU 서버 구매비도 인정되나요? → 인프라 구축형 사업에서 30 % 이내 가능.
🚀 결론 및 Call-to-Action

2025년 인공지능 국가전략은 기술 경쟁력과 디지털 혁신을 동시에 잡기 위한 종합 패키지입니다. 지금 바로 과기정통부·국가AI위원회 공고를 확인하고, 윤리 기준을 준수하며 지원사업에 도전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