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전기요금이 꾸준히 오르면서 가계 부담이 만만치 않습니다. 하지만 「2025 전기요금 감면 신청」 제도를 이용하면 저소득층·다자녀·장애인 가구 등은 월 최대 2만 원까지 전기요금을 깎을 수 있어요. 오늘은 신청 자격부터 절차, 주의 사항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2025 전기요금 감면이란? 🌱 (정책 소개)
전기요금 감면(복지할인)은 한국전력공사(한전) 가 에너지복지 차원에서 운영하는 할인 제도입니다. 대상 가구는 매월 기본요금 또는 사용량 요금 일부가 자동 차감돼 전기료 걱정을 덜 수 있어요. 2025년 기준 할인 한도·대상은 작년보다 확대돼 신청만 하면 1년 내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대상은 누구? 🧑🤝🧑 (신청 자격)
구분 | 상세 조건 | 월 할인 한도 |
---|---|---|
기초생활 생계·의료 급여 |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수급자 | 16,000원 (여름 20,000원) |
기초생활 주거·교육 급여 | 동일 | 10,000원 (여름 12,000원) |
차상위 계층 | 차상위계층 확인서 발급 가구 | 8,000원 |
장애인·국가유공자 | 등록 장애, 상이·독립유공 1 – 3급 | 16,000원 |
다자녀(3자녀↑) ·대가족(5인↑) | 세대원 기준 주민등록상 충족 | 요금 30 % (월 16,000원 한도) |
출산가구 | 막내 자녀 출생 3년 이내 | 요금 30 % (월 16,000원 한도) |
생명유지장치 사용 | 의료기기 전기 사용 확인 병원서 | 실제 사용량 전액 |
※ 여름철(7 – 9월)에는 한도가 25 % 늘어납니다.
얼마를 지원받을 수 있나요? 💸 (지원 규모)
- 정액 감면: 기초생활·차상위·장애인 등은 월 8,000 ~ 16,000원 자동 차감.
- 비율 감면: 다자녀·출산·대가족은 사용 요금의 30 %(월 1.6만 원 한도) 할인.
- 특수 감면: 생명유지장치 가구는 사용량 전액 감면(주택용저압 기준).
- 할인액은 전기 고지서(청구서)에서 ‘복지할인’ 항목으로 확인할 수 있어요.
신청 방법 (Step-by-Step) 📝 (신청 절차)
- 구비서류 준비
- 신분증, 전기요금 고지서(고객번호 확인용)
- 자격 증빙: 수급자증명서, 복지카드, 가족관계증명서 등
- 온라인 신청(5분 컷!)
- 정부24 또는 한전 사이버지점(한전ON) 접속
- [조회·납부] → 요금·복지할인 신청 메뉴 선택
- 할인 유형 체크 → 전자서명(공동·금융 인증서) → 제출
- 오프라인 신청
-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지역 한전 지사 방문
- 서류 제출 후 즉시 접수(17시 이후 접수분은 익일 처리)
- 결과 확인
- 신청 후 영업일 기준 3 ~ 5일 내 SMS 또는 이메일 통보
- 다음 달 고지서부터 할인 반영
신청 기간 · 필요 서류 📅 (기간 · 필요 서류)
구분 | 기간 | 비고 |
---|---|---|
온라인 상시 | 2025.01.01 – 12.31 |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 가능 |
여름철 추가 한도 | 2025.07.01 – 09.30 고지분 | 자동 적용(별도 신청 無) |
필수 서류 | 자격 증빙 서류, 신분증, 전기고객번호 | 주민센터 발급 가능 |
신청자를 위한 꿀팁 · 주의 사항 ✨
- 미리 신청: 접수 → 반영까지 최대 1개월, 여름 전(6월)까지 신청하면 할인 극대화!
- 자격 변경 시 즉시 재신청: 수급자 탈락·아이 출생 등 변동 → 혜택 자동 종료 방지.
- 다자녀 → 출산 중복할인 불가: 유리한 한 가지만 선택.
- 전입·전출 신고 놓치면 할인 이월 안 됨.
- 예산 소진 전 확인: 한도 초과 시 조기 마감 공지(한전ON 공지사항) 체크.
자주 묻는 질문 ❓
Q1. 신청 자격을 내년에 다시 심사하나요?
A. 아니요. 1회 승인 후 3년간 자격유지 여부만 확인합니다. 변동 시 미리 신고하세요.
Q2. 스마트폰으로만 신청해도 되나요?
A. 가능해요! 한전ON 모바일 앱에서 PC와 동일하게 접수할 수 있습니다.
Q3. 복지·다자녀 요금제 외에 다른 절약 방법은?
A. 시간대별 요금제, 누진제 완화 요금제 변경도 함께 고려하면 최대 20 % 추가 절감이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폭탄 걱정, 2025 전기요금 감면 신청으로 가볍게 해결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