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년지원금은 2025년에도 청년의 장기 재직과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동시에 잡는 핵심 정책입니다.

📝 핵심 요약
- 지원 종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청년내일채움공제, 서울형 이음공제(지역 추가).
- 최대 혜택: 2년 근속 시 최대 1,200 만원(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기준), 3년 근속 시 1,224 만원+α(서울형 이음공제).
- 2025년 달라진 점: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인당 지원 한도 상향(960 → 1,200 만원).
- 서울형 이음공제(청년·중장년 세대이음) 신규 도입.
- 주요 키워드: 중소기업청년지원금,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서울형 이음공제.
💡 주요 혜택/포인트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 대상: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중소기업.
- 금액: 월 80 만 원씩 최대 12개월, 2년차 480 만 원 일시 지원 → 총 1,200 만 원.
- 포인트: 6개월 고용유지 후 분할 지급, 임금 상승분과 별개.
2) 청년내일채움공제
- 대상: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 취업 청년(가입 시점 6개월 이내).
- 적립 구조: 청년 300 만 원 + 기업 300 만 원 + 정부 600 만 원 → 2년 후 1,200 만 원+이자.
- 세제 혜택: 기업 납입분 25 % 세액공제, 청년 소득세 50 % 감면.
3) 서울형 이음공제
- 대상: 서울 소재 중소·중견기업 신규 청년(만 19~39세)·중장년(50~64세).
- 금액: 근로자 10 만 원 + 기업·서울시·정부 각 8 만 원 공동 납부 → 3년 근속 시 1,224 만 원+이자.
- 특징: 세대 간 기술 이전, 기업당 최대 7명(청년) 지원.
📋 자격 요건 & 대상 (H2 추가)
- 고용보험 가입 필수(4대 보험).
- 연령: 15~34세(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내일채움), 19~39세(서울형 이음공제).
- 기업 요건: 상시근로자 5인 이상, 고용보험 체납 無.
- 연봉 조건: 연 3,000 만원 이하(일자리도약장려금, 2025년 기준).
📂 신청 가이드
🛠️ 신청 절차
- 고용24(works24.go.kr) 회원가입 → 기업·청년 정보 등록
- 사업 신청: 채용 6개월 이내(도약장려금), 근무 1년 이내(내일채움).
- 심사·승인 후 적립계좌 개설
- 분기별 실적 보고 & 지원금 수령
📑 필요 서류
- 정규직 근로계약서, 4대보험 가입 확인서
- 급여대장, 사업자등록증
- 청년 본인 명의 통장 사본, 주민등록초본
❓ FAQ
Q1. 중소기업청년지원금과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능할까?
A. 가능합니다. 단, 청년내일채움공제와 동시 적립 시 개인 납입 부담을 고려하세요.
Q2. 서울형 이음공제는 타 지역 기업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불가합니다. 사업장은 서울 소재이어야 하며, 청년도 서울시민이어야 합니다.
Q3. 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A. 채용 후 6개월 고용유지 시점부터 분기별로 지급됩니다.
🔚 결론 및 다음 단계
중소기업청년지원금은 단순한 ‘돈 주는’ 혜택을 넘어, 장기 근속 인센티브와 세제 감면까지 포괄합니다.
- 기업은 채용계획과 고용유지 전략을 세우고,
- 청년은 장기 커리어 로드맵을 마련하면 1,200 ~ 1,224만 원의 목돈이 현실이 됩니다.
지금 바로 고용24·중진공 포털에서 신청 일정을 확인하세요!